국가 개요

About NZ | National Overview

nz-flag뉴질랜드는 독립된 민주주의 국가로 총선에 의한 국회와 안정된 사회 및 정치 환경을 가지고 있다. 현재 영연방의 일원으로서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이 합법적인 국가원수이지만, 나라의 통치에는 실질적으로 간섭하지 않는다. 영국 여왕은 뉴질랜드에서 주로 의전적인 임무를 담당하는 총독(Governor General)에 의해 대표된다.

3년에 한번씩 국회의원 총선이 있으며, 18세가 넘는 유권자만 선거에 참여한다. 정당은 노동당과 국민당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민간 단체들과 개인 이해 당사자들은 국회 분과 위원회들을 통해, 또는 국회의원들과 직접 접촉을 통해 뉴질랜드의 개방된 정부 체제에 참여한다. 사법부 및 공공기관의 공무원들은 정치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임명된다. 뉴질랜드는 세계에서 가장 청렴도가 높고 가장 부패하지 않은 나라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국민의 약 82%가 유럽계(그 중 대부분은 영국계임)이며 폴리네시아 토착 원주민인 마오리족이 약 9%, 그리고 태평양 도서 원주민들과 화교, 인디언들이 나머지 소수집단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다민족 사회의 특성상 어느 정도의 인종 갈등은 피할 수 없으나 다른 나라들의 경우에 비해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공용어는 영어와 마오리어이지만 주로 영어가 사용된다. 뉴질랜드는 명목상으로는 그리스도교 국가이다.
성공회, 장로교, 로마가톨릭교, 감리교 신자가 인구의 약 3/5에 이른다.

뉴질랜드의 경제는 농업∙중소기업∙서비스업에 기반한 선진적인 시장경제이다. 경제규모는 작고 발전 도상에 있다. 연료∙자본재∙소비재를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성장은 더딘 편이다. 1인당 국민총생산(GNP)은 선진국 수준이다.

뉴질랜드의 사회복지 제도는 전세계적으로 오랜 전통을 갖고 있다. 이미 1898년에 정부 예산에서 지급하는 비(nz-map非)각출 노인연금을 채택한 데 이어 1920년대에는 미망인∙광부 연금과 어린이 수당을 채택했으며, 1938년에는 무상 치료와 무상 의약조제, 개인병원 진료에 대한 넉넉한 국가 보조금 지급 등 세계에서 가장 포괄적인 연금∙복지 제도를 채택했다. 그 후 뉴질랜드의 사회복지 제도는 일부 쇠퇴한 면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지금도 ‘전국민 퇴직연금제’라는 포괄적인 제도가 있어, 60세가 넘어 퇴직할 경우 자신의 임금에서 세금을 공제 금액의 80%에 이르는 연금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1984년에는 다른 소득원에서 벌어들인 금액이 일정한 금액을 초과할 경우 부가가치세를 부과하는 제도가 도입되어 많은 사람들이 연금을 몰수당하기도 했다. 그 밖에도 결손가정∙장애인∙환자 수당과 16세까지 지급되는 어린이 수당, 저소득 가정에 지급되는 생활보조금 등 많은 연금∙복지수당이 있다.

6~15세의 어린이들에게 무상 의무교육이 행해지는데, 사실상 거의 모든 어린이가 국영 유치원에서 취학 전 교육을 받은 다음 5세에 초등학교에 입학한다. 교육 관장 기관은 교육부이며, 선출직 위원들로 구성되는 교육위원회가 초등∙중등교육을 통제한다. 고등교육의 기반은 기술대학, 지역대학(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대학 과정을 가르치되 학위는 수여하지 않음), 사범대학이며, 그 밖에 몇몇 종합대학과 농업대학이 있다. 식민지 초기부터 교육사업에 역점을 둔 까닭에 사실상 문맹자는 없다.